- PREVIOUS잡담
- NEXT노무현과 바보들 2
본문
책소개
2018년 2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월간 '인물과 사상'에 실린 인터뷰 기사를 골라 묶은 인터뷰집이다. 다만 지면상의 한계 탓에 대체로 인터뷰이들의 핵심적 주장을 저마다의 어투를 살려 담았다. 이 책에서는 인터뷰이 모두가 자신의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발언하고 있지만, 현재 우리 사회가 얼마나 야만적인지 지적하면서 앞으로 어떤 사회로 바꿔나가야 할 것인지를 묻는다.
그런 점에서 우선 사회역학 분야를 연구중인 김승섭 교수의 지적이 인상적이다. 좌파건 우파건 사람이 아프지 말아야 한다는 것과 육체적이건 정신적이건 건강 불평등을 줄여야 한다는 전제하에 사회 자원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눈길이 간다는 것. ‘병원에 와서 치료를 받고 나서도 다시 병을 유발하는 환경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사회’에 대해, 그리고 ‘병원에 오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고 그는 말한다. 의사 강용주와 목수정 작가, 서지현 검사 등은 폭력적 사회에서 정치성을 떠나 자신의 존엄을 지키는 일의 중요성을 말한다. 이 책은 개인의 자유와 존엄을 위해 우리 사회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끊임없이 질문하고 있다.
작가소개
지은이 : 지승호
김어준, 박원순, 박찬욱, 봉준호, 신성일, 신해철, 유시민, 강신주, 장하준, 표창원, 김의성, 정유정…… 이들의 공통점을 설명하기란 어렵지 않다. 그 중심에 ‘인터뷰어 지승호’가 있다면 말이다. 독보적이라는 수식어조차 불필요한 그는 ‘국내 유일’의 전문 인터뷰어다.
그의 손을 거쳐 나온 인터뷰집은 『닥치고 정치』 『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당당한 인문학』 『신해철의 쾌변독설』 『서민의 기생충 같은 이야기』 『공범들의 도시』 『악당 7년』 『정유정, 이야기를 이야기하다』 등 무려 50종이 넘는다. 그는 인터뷰이를 자신의 프레임에 끼워 맞추지 않는다. 다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여과 없이 독자에게 전달하고 스스로의 존재는 뒤편으로 물리는 것이 지승호가 걸어온 방식이다. 여기에 진정한 장인 정신과 인터뷰이를 향한 애정이 깃들어 있다. 독보적 인터뷰어라고 해서 말하기의 달인을 기대한다면 실망할 수도 있다. 그는 말을 잘하는 사람은 아니다. 하지만 상대방이 하고 싶은 말을 물어봐주고, 독자가 정말 궁금해하는 점을 짚어주어, 인터뷰이의 속내와 진정성을 끌어내는 대화의 센스는 단언컨대 지승호가 최고다.
첨부파일
-
타인은 놀이공원이다_신간안내문.hwp (1.0M)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3-03 13:5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