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세기가 지나도 싱싱했다
지은이 | 공광규 외 12인 |
---|---|
출간일 | 2022년 12월 23일 |
사양 | 192쪽 130*200mm |
ISBN | 9791192247748 |
수상 | |
정가 | 14,500원 |
판매처 |
목록으로
- PREVIOUS도메인
- NEXT스물여섯 개의 돌로 남은 미래
본문
책소개
우리 시단의 경향과 세대를 아우르는 신작 시집이다. 공광규, 권민경, 김상혁, 김안, 김이듬, 김철, 서춘희, 유종인, 이병철, 전영관, 정민식, 한연희, 조성국 등 등단 연도 1986년부터 2021년 사이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열세 명의 시인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시는 언제나 현재성의 언어로 쓰이고, 동시대 그 사회의 가장 젊은 목소리를 대변하게 마련이다. 나이에 상관없이 장르 자체의 ‘젊음’이 싱싱한 시를 태어나게 하는 것이다. 가장 기민하고 가장 낮고 가장 뜨거운 방식으로 당신과 나 사이에서 시가 빛날 때, 우리 삶은 좀 더 푸릇해진다. 일상의 지각을 흔드는 미적인 순간의 문이 마침내 열린다.
작가소개
지은이 : 공광규1986년 〈동서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대학일기』 『소주병』 『서사시 동해』 등이 있으며, 산문집 『맑은 슬픔』이 있다. 윤동주문학대상, 현대불교문학상, 고양행주문학상, 신석정문학상, 녹색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이 : 권민경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베개는 얼마나 많은 꿈을 견뎌냈나요』 『꿈을 꾸지 않기로 했고 그렇게 되었다』 등이 있다. 제2회 내일의 한국작가상, 제3회 고산문학대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김상혁
2009년 〈세계의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이 집에서 슬픔은 안 된다』 『다만 이야기가 남았네』 『슬픔 비슷한 것은 눈물이 되지 않는 시간』 등이 있으며, 산문집 『만화는 사랑하고 만화는 정의롭고』 등이 있다. 제4회 스마트소설 박인성문학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김안
2004년 〈현대시〉로 등단했다. 시집 『오빠생각』 『미제레레』 『아무는 밤』이 있으며, 제5회 김구용시문학상, 제19회 현대시작품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김이듬
2001년 〈포에지〉로 등단했다. 시집 『별 모양의 얼룩』 『히스테리아』 『표류하는 흑발』 등과 장편소설 『블러드 시스터즈』, 산문집 『모든 국적의 친구』 『디어 슬로베니아』 등이 있다. 시와세계작품상, 김달진창원문학상, 올해의좋은시상, 22세기문학상, 김춘수시문학상, 전미번역상, 루시엔 스트릭 번역상, 양성평등문화인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이 : 김철
2021년 〈머니투데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전태일문학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서춘희
2016년 〈시로 여는 세상〉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 『우리는 우리가 필요해』 등이 있다.
지은이 : 유종인
1996년 〈문예중앙〉으로 등단했다. 시집 『아껴 먹는 슬픔』 『사랑이라는 재촉들』 『답청』 등이 있다. 지훈문학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이병철
2014년 〈시인수첩〉으로 등단했다. 시집 『오늘의 냄새』 『사랑이라는 신을 계속 믿을 수 있게』 등이 있으며, 산문집 『우리들은 없어지지 않았어』 『사랑의 무늬들』 등이 있다. 제7회 김만중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전영관
2011년 〈작가세계〉로 등단했다. 시집 『미소에서 꽃까지』 『슬픔도 태도가 된다』 등이 있다. 토지문학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정민식
2020년 〈문학의 오늘〉로 등단했다.
지은이 : 한연희
2016년 〈창작과비평〉으로 등단했다. 시집 『폭설이었다 그다음은』이 있다. 제8회 딩아돌하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조성국
201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5·18문학상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시집 『적절한 웃음이 떠오르지 않았다』가 있다.
첨부파일
-
몇 세기가 지나도 싱싱했다_신간안내문.hwp (692.5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3-09 01:2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