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교유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내 전체검색
  • BOOK
  • 교유서가
  • BOOK

    다온테마는 오늘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겠습니다.

    교유서가

    지구화

    지은이 맨프레드 B. 스테거 / 이우진, 조성환, 허남진
    출간일 2024년 12월 13일
    사양 248쪽 128*188mm
    ISBN 9791193710906
    수상
    정가 15,500원
    판매처

    목록으로

    본문

    책소개

    1990년대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이 지구화란 개념은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확대된 세계와 함께 그 의미가 확장되기 시작했다. 저자는 이 짧은 저서에서 지구화의 의미, 파생되는 개념, 그리고 역사적 사실까지 꼼꼼하게 짚으며 지구화의 성격을 포괄하여 논하고자 한다. 아울러 지구화의 확산이 지금 우리 생활에 미친 영향을 생각하여 지구화가 초래한 세계사의 흐름도 알 수 있도록 구성해 놓았다.

    지난 몇 년 동안 우리는 저자가 이야기하는 지구화와는 달리 반지구화의 소용돌이 속에 휩쓸려 들어와 있는지도 모르겠다. 지구상에는 바이러스가 퍼져 많은 사람이 건강을 잃었으며 몇 년이나 지속되는 전쟁은 무고한 대중들의 삶을 참혹하게 한다. 이로 인한 경제 위기는 지역의 이익을 우선으로 여기게 되었고 비자유주의, 권위주의적 국가들의 모습도 눈에 보이게 만들었다. 즉 지구화의 상호 연결성이 단절되고 이동성도 약화되어 보이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흐름에서 지구화에 대해 논하는 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작가소개
    지은이 : 맨프레드 B. 스테거(Manfred B. Steger)
    하와이대학교 마노아캠퍼스 교수.
    지구화의 담론을 형성하는 데 있어 사상, 이미지, 언어, 이데올로기 및 기타 상징적 체계의 중요한 역할에 초점을 맞춘 사회 및 정치 이론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학자이다. 미국 정치학 협회로부터 마이클 해링턴 도서상을 수상하는 등 학술 저서와 논문으로 여러 차례 수상한 바 있다. 미국 국무부의 지구화(Globalization)에 대한 학술 자문가와 PBS TV 시리즈인 〈Heaven on Earth: The Rise and Fall of Socialism〉의 자문가를 역임하였다. 대표작으로 『The Rise of the Global Imaginary』(2008), 수상작인 『Globalisms: Facing the Populist Challenge』(제4판), 『Globalisms: Facaging the Global in Unsettled Times』(제4판) 등이 있다.
    개인 홈페이지 : https://sociology.manoa.hawaii.edu/manfred-b-steger/


    옮긴이 : 이우진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공주교육대 글로컬인문학연구소 소장.
    공주교육대학교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였고, 차세대 한국학자로 선발되어 워싱턴대학에서 연구하였다. 저서로 『Korean Education: Educational Thought, Systems and Content』,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지구인문학의 발견』(공저), 『지구인문학의 시선』(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 『인류세의 철학』(공역), 『정의를 위한 교육, 야누시 코르차크』 등이 있다.

    옮긴이 : 조성환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
    서강대학교와 와세다대학교, 원광대학교에서 수학과 철학, 종교와 역사를 공부하였고, 동학사상사와 지구인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한국 근대의 탄생』,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K-사상사』, 『키워드로 읽는 한국 철학』, 『한국의 철학자들』,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지구인문학의 발견』(공저)이 있고, 번역서로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인류세의 철학』(공역) 등이 있다.

    옮긴이 : 허남진
    한신대학교 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종교학을 공부했다. 저서로는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지구인문학의 발견』(공저), 『지구적 전환 2021: 근대성에서 지구성으로 다시 개벽의 징후를 읽다』(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인류세의 철학』(공역) 등이 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