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반지성주의
지은이 | 리처드 호프스태터 / 유강은 |
---|---|
출간일 | 2017년 5월 8일 |
사양 | 양장본 680쪽 149*216mm |
ISBN | 9788954645362 |
수상 | 제58회 한국출판문화상 번역 부문 |
정가 | 35,000원 |
판매처 |
목록으로
본문
책소개
1964년도 퓰리처상 수상작. 미국의 지적 전통이란 무엇인가?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지식인은 민주주의의 실현에 힘이 되는가? 저명한 역사가가 미국의 역사를 ‘반지성주의’라는 개념으로 분석한 현대 지성사의 고전이다. 미국의 건국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종교, 경제, 교육, 문학 등을 소재로 삼는다. 이 책의 목표는 미국인의 삶에서 지성에 쏟아지는 멸시를 묘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사회에서 하나의 세력인 지성이란 과연 무엇이며 무엇일 수 있는가에 관해 발언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반지성주의는 극우 보수주의 정치와 단단하게 결합되었다. 애들라이 스티븐슨과 아이젠하워의 대결은 조지 W. 부시와 앨 고어, 부시와 존 케리, 트럼프와 힐러리 클린턴의 대결에서 고스란히 재연되었고, 유권자 대중은 반지성주의에 열광하면서 부시와 트럼프에게 열렬한 지지를 보냈다. 트럼프는 저자가 미국의 반지성주의의 특징으로 꼽는 원시주의, 지성에 대한 경멸, 당당하고 노골적으로 현실적 성공을 밝히는 사업가 정신을 체현한 인물이다.
남부의 백인 하층 노동자들과 중서부의 농민들만이 아니라 자신은 엘리트와 거리가 멀다고 여기는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잘난 헛똑똑이 힐러리 클린턴을 혐오하고 대신 트럼프에게 지지를 보냈다. 1960년대 민주주의와 경제가 번성할 때 지식인과 잠시 좋은 관계를 이루었던 대중은 신자유주의가 득세한 결과로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다시 분노의 화살을 지식인에게 돌리고 있는 것이다.
작가소개
지은이 : 리처드 호프스태터(Richard Hofstadter)1916-1970. 컬럼비아 대학 미국사 담당 드위트 클린턴 특훈교수(DeWitt Clinton Professor)였다. 버펄로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컬럼비아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2년부터 1946년까지 메릴랜드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고 이후 컬럼비아 대학 역사학과로 자리를 옮겼다. 1958~9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의 미국 역사와 제도 담당 피트 교수를 지냈다. 미국사에 관한 첫번째 저서로 『미국 사상 속의 사회다윈주의Social Darwinism in American Thought』(1944)를, 뒤이어 『미국의 정치 전통American Political Tradition』(1948)을 내놓았다. 『개혁의 시대The Age of Reform』(1955)로 퓰리처상(역사 부문)을 수상했고, 본서 『미국의 반지성주의』(1963)로 퓰리처상(넌픽션 부문), 파이베타카파의 에머슨 상, 시드니 힐먼 상 등을 수상했다. 이 밖의 저서로 『미국 정치의 피해망상 양상The Paranoid Style in American Politics』(1965), 『진보적 역사학자들The Progressive Historians』(1968), 『정당 체제의 구상The Idea of a Party System』(1969), 『1750년의 아메리카America at 1750』(1971) 등이 있고, 마이클 월리스Michael Wallace와 함께 『미국의 폭력: 자료로 보는 역사American Violence: A Documentary History』(1970)를 엮기도 했다.
옮긴이 : 유강은
국제문제 전문 번역가. 옮긴 책으로 『미국민중사 1·2』 『The Left: 미완의 기획, 유럽 좌파의 역사』 『두뇌를 팝니다』 『세계를 팔아버린 남자』 『자본주의에 불만 있는 이들을 위한 경제사 강의』 『조지 케넌의 미국 외교 50년』 『좌파로 살다』 『데드핸드』 『병목사회』 『나쁜 여자 전성시대』 등이 있다.
libromio@jinbo.net
첨부파일
-
미국이 반지성주의_신간안내문.hwp (697.5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3-07 16:48:31